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레이저 반도체 응용기술
- apple
- 신사업 개발
- 로봇
- 반도체 장비
- 고영
- 메타버스
- 스타트업
- 삼성 반도체
- 물류 4.0
- 반도체
- 레이저 마커
- 레이저 어닝기술
- 신사업
- 이오테크닉스
- iOS 개인정보동의
- 4차산업혁명
- metaverse
- AI Big Data
- 마이크로소프트
- 삼성벤처투자
- 미국 IT Big Tech
- MS
- 반도체 신기술
- 페이스북
- open innovation
- 구독 경제
- 빅 데이터
- 반도체 후공정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6)
4차산업혁명 신사업 개발, 투자 Know-how 및 Idea Hub

1부 Market Intelligence는 개념적 설명을 기반으로 Why, What 측면에서 MI를 설명드렸습니다. 2부에서는 MI를 실행하기 위한 방향성 측면의 How중심으로 사례와 실행 측면으로 기술토록 하겠습니다. 1. Market Intelligence 실행 이하의 거대 기업의 사례를 보았을 때, 각각 본부 내 사업부별 MI 조직을 구성하고, 실행은 전략마케팅팀에서 MI를 운영하며, 사업부 단위뿐만 아니라, 기업 차원에서 전사 MI조직을 별도 구성하여, 정보의 체계적 구성과 정보의 Bottom up 순환을 위해 조직과 업무 그리고 그것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IT System까지 중요한 정보를 거대 조직에서도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Fundamental을 오래전부터 체계화시켰다는 점에서 ..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략의 기반이자, 시작점으로 볼 수 있는 Market Intelligence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Market Intelligence라는 용어는 과거 10~20년 전에는 기업에서 활발하게 사용된 용어는 아니였습니다. 다만, Global 반도체, Display 업체 및 산업에서 투자를 하기 위해, 시장, 고객, 경쟁사를 분석하여 시장을 창출하거나, 대규모 투자에 대한 분석을 사전에 하여, 신사업을 도출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론으로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10~15년 전부터는 국내 대기업 중심으로 Market Intelligence에 대한 투자, 조직 및 개념과 실제 산출물을 정기적으로 기업 내에서 발간하여 C Level 뿐만 아니라, 실무 Level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만들고..
제가 새로운 Idea가 필요하거나, 청중에게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시킬까 고민할 때 자주 보는 Shape Template입니다. 120가지 넘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인데, 이런 Template을 활용하시면 좀 더 Creative 한 idea와 작업 속도에 크게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략업무에 있어서 C level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내용을 풍부하고 최대한 간략하게 정리하여 하나의 소설책처럼 쉽고 정확하게 전략을 구사하고 보고하는 데 있어서 제가 평소에 자주 쓰는 Diamond Template를 공유드리고자 하오니 참조 바랍니다. 특히 실무자분들께서 다양하게 활용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Diamond Template 2종 set를 공유드립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유관 New Item을 발굴하기 위해 여러 고민들이 많으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선 헬스케어 영역을 구분하여 어떤 Segment로 구분하여 각 회사별 Asset을 가지고 어떤 Target을 설정하기 위해 Market에 대한 정의 및 Data 관련한 Digital Healthcare에 대한 예시를 통해 독자분 들께서 다양한 Idea를 도출하실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큰 방향성으로는 수술보단, 평소에 진단하고, 관리하고, Data를 축적하여 수술보다는 사전 예방 차원의 분석 Service관련 사업 모델이 다변화되고 다양하게 수익화되는 예시와 분석을 주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결국 헬스케어 서비스 수익 사업 모델의 Key Point = 의료 서비스 = 수술 아닌 Da..

신사업 개발의 Top Pick으로 저의 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내용을 실제로 실천하고 계획하여 이제는 현실이 되고 있는 아마존에 대한 내용을 기술코자 합니다. 구성 내용은 총 4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하는 아마존, 필팩 인수를 통한 온라인 약국 사업, 원격진료 진출 및 헬스케어로 진입하는 근본적 이유로서의 생태계 확장과 프라임 서비스 등으로 기술할 예정입니다.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근본적으로 왜 아마존 오랜 기간 헬스케어 사업을 준비했었던 여러 가지 이유 중에 저는 첫 번째는 무궁무진한 이커머스의 성장과 그 성장의 중심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헬스케어 시장 규모 및 그럼 헬스케어 시장을 움직이며 또 다른 가치 창출을 함께하는 물류산업과 이 모든 것과..

오늘은 로봇과 관련된 미래 유망 시장에 대한 사업개발 측면에 대해 기술코자 합니다. 우선, 전문/상업용 로봇 분야에 대해서는 물류, 의료, 접객, 음식 배달 로봇 시장이 여러 분야 중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호주 투자은행 맥퀴리는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이 연평균 32%씩 성장하여 2025년 1,0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비교적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만약, 맥쿼리의 전망대로라면, 제조 로봇까지 포함할 경우 2025년 로봇 시장은 현재 PC 시장(1,600억 달러 2019년) 규모에 필적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맥쿼리는 전문/서비스 로봇 시장 중에서 물류)Logistic 로봇을 여러 분야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오늘 제가 의견을 드릴 부분..

3부는 Open Innovation을 수행하기 위해 엑셀러레이터 혹은 컴퍼니 빌더를 통해 법인을 세워서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면서 국가에서 지원하는 공적 혹은 모태펀드뿐만 아니라, 법인 스스로 수익을 발생시키며,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나름의 사업 모델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Solution을 드리고자 합니다. 보통의 경우 Open Innovation의 실행 부분을 강조하시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물론 그부분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저는 다른 관점에서 컴퍼니 빌더와 같은 법인 조직 자생적으로 역량을 보유하여 수익을 발생시키고, 그 수익을 재투자하여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그 육성된 스타트업들이 성장하여 그 지분과 성장에 대한 대가로 대규모 수익을 발생시켜 결국 컴퍼니 빌더가 더욱 수..

3부에서는 국내 물류 운송 시장 세부적 부분과 각 세부적 시장에 대한 Dynamics 이하와 같이 정리하여 공유코자 합니다. 특히, 시장 구조의 Target Segment를 최종적으로 화물 운송 주선 시장의 기준에서 시장을 분류하고 구성하였습니다. 결국 2부에서도 말씀드렸던 운송 화물 시장에서 시장의 Key Dynamics인 운송 주선사와 화주, 차량과의 관계로 귀결될 수 있는 SOM(Service Obtainable Market)을 33조 구분하여 분석하고 독자분들께 전달드리는 것을 사전에 말씀드립니다. 또한, 이하의 내용의 대부분은 통계청 및 국가 물류통계 자료를 토대로 제가 생각하는 Target Market인 운송 주선 시장으로 구성하였고, 이하 이해하기 어려운 산업의 Terminology부분은 추..

1부에서는 물류 산업이 왜 중요한지, 대전제 측면에서 물류의 Potential을 Fundamental관점에서 기술하였습니다. 그럼 2부에서는 Micro 한 관점에서 물류 시장을 면밀히 분석하고 시장 Segment별로 Market Dynamics를 분석하여 어떠한 관점으로 신사업 개발을 하면 되는지에 대한 방향성 측면 Insight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물류 시장 분석의 범위는 한국으로 제한하였으며, 운송 시장기반으로 Segment로는 Middle Mile과 Last Mile까지 기술코자 합니다. 시장 규모 범위 Assumption은 이하은 도로 육상 화물 중심, 운송 물류 수요 부분으로 국한되며, 철도 화물 운송은 -27% 및 항공 -32% 감소세로 도로 육상 화물 성장 압도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향..

물류 시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Key New Biz Item이라고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그럼, Why, 물류가 중요하고 What을 통해 시장이 변화하고 있고, 우리는 How 물류 산업에 대한 대응을 해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고, 물류 4.0 신사업을 준비하시는 신사업 개발자 및 전략 기획자 분들께서는 물류 산업의 필요성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어 보여서, 오늘은 물류 4.0 Biz 및 Platform 산업의 Potential 측면에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4차산업혁명 핵심 7대 산업 구분(Healthcare, Automotive, Financial Services, Logistics, Entertainment, Retail, Energy 등)에 속하는 Indus..

1부에서는 신사업 개발에 대한 신사업 Process에 대한 필요성, 개념 및 실제 구축 방향 등의 Fundamental에 대한 부분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참고로, 2부 신사업 구축 Process를 읽기 전에, 구독자 여러분들께서는 1부 내용을 미리 한 번 더 보시고, 본 페이지로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럼, 이번 2부에서는 그럼 어떠한 방향으로 신사업 Item을 찾고 누구와 협력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실행을 하는지에 6가지 방향을 기술코자 합니다. 신사업을 실행하는 기업은 보통 기존 사업에 대한 성장의 정체 혹은 신사업을 갈망하는 기업에서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신사업 개발의 Tool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하의 내용은 스타트업을 기반으로 6가지 New Item Sourcing Process로..

오늘은 제가 최근에 분석하였던 고영 테크놀로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반도체 후공정 특정분야의 Global no.1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독보적 위치와 향후 삼성전자의 미국 파운드리 투자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보이는 피에스케이 반도체 후공정 업체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독자분들께서 잘 아시고 있는 업체이지만, 저는 좀 더 심도 있는 다른 각도에서 전략기획과 신사업 개발자로서 새로운 시각과 접근으로 피에스케이를 분석코자 합니다. 참고로, 과거 우연한 기회에 피에스케이 고위 임원분들을 뵌 적이 있었는데, 그때 느낌은 굉장히 또렷하신 분이며, Smart하시고, 사업에 대해 굉장히 진지하시며, 신사업 기술 개발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노력하시는 훌륭한 분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저의 주관적 ..

기업에서 기존의 신사업 방식과 다르게 M&A가 아니고, 회계법인 혹은 컨설팅 업체를 거치지 않고, 신사업을 기업 독자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전제로 이하 저의 Process기반, Know-how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액셀러레이터/컴퍼니 빌딩 기반, 신사업 Process 구축 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총 3부에 걸쳐서 신사업 실행 전략을 나누어 내용을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본 Process는 CVC 혹은 창투사를 법인으로 설립하신 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실무자 분들께서 고위 임원분들께 신사업 개발에 대한 실행 전략을 발표하시기에 적절한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1. 신사업 개발에 대한 Paradigm Shift 측면 4차 산업혁명시대가,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식의 전사적 통합 신사업 ..

오늘은 가치투자 추천 종목 중에서 끊임없는 M&A를 통한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제국을 이뤄낸 MS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MS라고 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만 생각하는데,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대부분의 기술을 Cover 하는 IT 기술 제국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기술 제국의 Key Point는 기업 인수를 수십년간 지속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인수도 단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미국을 대표하는 테크 기업인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과 비교해도 인수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마이크로소프트라는 점입니다. 가령, 10억 달러가 넘는 규모 인수를 보면 구글 8건, 아마존 5건, 페이스북 5건, 애플 2건 정도인데 마이크로소프트는 13건으로 가장 큰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