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물류 4.0
- apple
- 마이크로소프트
- metaverse
- MS
- 반도체
- 미국 IT Big Tech
- 고영
- 반도체 신기술
- 4차산업혁명
- 레이저 어닝기술
- 페이스북
- 삼성 반도체
- 반도체 장비
- 신사업
- 빅 데이터
- 레이저 마커
- 이오테크닉스
- 스타트업
- open innovation
- 구독 경제
- 레이저 반도체 응용기술
- 로봇
- AI Big Data
- 신사업 개발
- 메타버스
- iOS 개인정보동의
- 반도체 후공정
- 삼성벤처투자
- Today
- Total
목록4차산업혁명 (7)
4차산업혁명 신사업 개발, 투자 Know-how 및 Idea Hub

4차 산업혁명기술에 근거한 새로운 경영전략에 대한 저의 경험과 실무적 이론을 접목하여 기업에 있는 저와 같은 전략 기획자 및 신사업 개발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Fundamental 측면에서 어떤 시대정신을 가지고 변화된 전략과 실행을 제시해야 하는지 해결책을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코자 한다. 이러한 신경영전략 내용에 대한 첫 내용으로 과거 백 년 이상기업을 운영한 미국 기업들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기존 Value Chain 붕괴 및 변화에 대한 산업 Trend를 경영 전략 Logic으로 풀어내고자 이하 내용을 기술 코자 한다. 1. 경영전략 변화의 Fundamental Reason 1990년 글로벌 500대 기업 중 81%(2016년 기준)인 405개가 자취를 감췄다. 이 중 95개 기업만이..

ICT 산업의 쌀 역할인 반도체 산업의 핵심 4개 업체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실제로 제가 6개월 동안 반도체 4 총사(일명 제가 스스로 부르는 호칭)를 통해 최근 소위 조정기간이라고 통칭하는 2021년 상반기 중에서도 수익률이 약 22%부터 60%까지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는 소기의 성과도 얻었기에 저만 알고 있는 것보단, 여러분들께서도 산업의 이해뿐만 아니라, 주식 추천 측면에서도 글로벌 반도체 4 총사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글로벌 반도체 4 총사는 1)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2) 램리서치 3) ASML홀딩스 4) KLA입니다. 그럼 이하 순서대로 간단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설명 순서는 저의 수익률 상위 종목부터 우선순위를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우선 이하의 화면은 저의..

반도체 국내 장비 업체가 훌륭한 업체가 많다는 것은 사실이나, 사실 장기 가치 투자 측면에서 오래 지켜볼 만한 곳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몇 군데는 강력한 모멘텀 혹은 장기적 Potential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고영을 왜 추천드리냐라고 물어보신다면, 사실 대단하기 보다는 로봇에 대한 집념과 끊임없는 투자로 현재보다는 미래가 밝은 곳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반도체 검사 장비로서 충분히 현재도 나쁘지 않습니다. 장비 업체로 매우 탄탄하고 Mid-end Back-end공정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장비 사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영국의 특히 SPI 및 3D Inspection부분 AOI 부분 독보적 기술과 강력한 영업이익률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추천하는 진짜 이유는 스마트..

최근 제가 작성하고 있는 글 중에 Digital Healthcare에 대한 내용을 부쩍 많이 올리고 있습니다. 이유는 그만큼 향후 신사업 개발의 Key Industry가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것을 보여드리는 것이며, 이번 내용에는 산업전망과 시장 예측 및 시장의 Key Dynamics와 Market Winning Rules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디지털 헬스케어의 국내외 시장 현황 현재 우리의 디지털 헬스 산업의 경쟁력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에서 韓경쟁력은 ‘60점’ 수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입장에서는 "의료정보 보안·표준화 R&D 연구비 확대 필요”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은 있어 보입니다. 향후 전 세계 디지털 헬스 산업의 성장이 5천억 달러..

이번에는 AI기반의 Digital Healthcare 신사업 추진을 위한 Item에 대한 저의 소견을 드리고자 내용을 정리합니다. 오늘의 Key Point는 Why AI를 통한 Healthcare가 피할 수 없는 필수적인지 그리고 AI를 통해 빠르면 2~3년 늦어도 4~5년 내로 AI를 통한 Digital Healthcare가 적용되는 구체적 분야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우리는 암과의 전쟁에서 정복이라는 단어에 서서히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면역 항암제와 표적 치료제 기술을 통한 암 정복을 극복할 수 있는 이유도 있지만, 결국은 Healthcare의 AI라는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근본적 변화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결..

신사업의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론 들이 있지만, 이번 글의 Key Point는 해외 신사업 투자를 기반으로 해외 VC와의 거점 구축, 투자 및 실리콘 밸리 사례를 통한 기술 중심의 신사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 방향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전 글에도 언급 한 바, 신사업의 Key는 외부 전문가들 혹은 기관들과의 협력 및 활용을 통해 기존 사업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기술하였습니다. 특히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전문 VC들과의 개방형 혁신을 통해 VC투자를 활성화 시키는 것도 신사업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개방형 혁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해외의 전문 VC들과의 협력을 하는 투자 관점과 사례는 이하와 같습니다. 1. 신사업 가속화..

보통 회사에서 신사업의 방향을 도출하라 한다면, 너무나 방대하고, 상사의 지시에 따른 신사업의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무자로서 모호하거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를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큰 틀에서 하나 둘씩 Process를 구축해 나간다면, 조금씩 방향은 잡아갈 수 있습니다. 수없이 많은 신사업 Process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될 방향 3가지를 우선적으로 공유하면 크게 3가지로 이해할 수 있으며, Process별 상세 내용은 이하와 같습니다. 특히 이하의 예시는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본인의 Idea와 경험을 토대로 정리하였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1. Item Sourcing의 방향성 - 신사업을 준비하기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 전문가와의 협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흔히들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