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페이스북
- 레이저 반도체 응용기술
- 미국 IT Big Tech
- apple
- 물류 4.0
- 구독 경제
- 반도체
- 반도체 장비
- 메타버스
- 레이저 어닝기술
- 고영
- AI Big Data
- 이오테크닉스
- 레이저 마커
- open innovation
- 신사업 개발
- metaverse
- 스타트업
- 반도체 후공정
- iOS 개인정보동의
- 삼성벤처투자
- 4차산업혁명
- 마이크로소프트
- 삼성 반도체
- 빅 데이터
- 로봇
- 반도체 신기술
- 신사업
- MS
- Today
- Total
목록신사업 (5)
4차산업혁명 신사업 개발, 투자 Know-how 및 Idea Hub

4차 산업혁명기술에 근거한 새로운 경영전략에 대한 저의 경험과 실무적 이론을 접목하여 기업에 있는 저와 같은 전략 기획자 및 신사업 개발을 하시는 분들을 위해 Fundamental 측면에서 어떤 시대정신을 가지고 변화된 전략과 실행을 제시해야 하는지 해결책을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코자 한다. 이러한 신경영전략 내용에 대한 첫 내용으로 과거 백 년 이상기업을 운영한 미국 기업들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기존 Value Chain 붕괴 및 변화에 대한 산업 Trend를 경영 전략 Logic으로 풀어내고자 이하 내용을 기술 코자 한다. 1. 경영전략 변화의 Fundamental Reason 1990년 글로벌 500대 기업 중 81%(2016년 기준)인 405개가 자취를 감췄다. 이 중 95개 기업만이..

21년 현재 기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유망 기업을 산업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본 내용의 Key Point는 신사업 개발자분들께서 투자의 방향과 시장 Trend를 이끄는 실리콘 밸리의 VC들이 가장 신뢰하고 실제 투자를 활발하고 있는 업체들을 벤치마킹하여 이와 유사한 국내 기업을 발굴 혹은 필요시 company building을 통해 실제 이와 같은 Item을 직접 개발 혹은 시행하는 등의 신사업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idea를 드리고자 공유해 드립니다. 크게는 7가지 산업으로 구분하여 유망 업체를 정리해 드리오니 참조해 주십시오. 참고로, 이하의 업체들 중에서 제가 Top Priority로 생각하는 회사들도 있지만, 사견까지 기술하기에는 Risk가 있기에 선택과 집중은 독자분들께서 해주셔서 오히려 ..

기업에서 기존의 신사업 방식과 다르게 M&A가 아니고, 회계법인 혹은 컨설팅 업체를 거치지 않고, 신사업을 기업 독자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전제로 이하 저의 Process기반, Know-how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액셀러레이터/컴퍼니 빌딩 기반, 신사업 Process 구축 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총 3부에 걸쳐서 신사업 실행 전략을 나누어 내용을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참고로, 본 Process는 CVC 혹은 창투사를 법인으로 설립하신 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실무자 분들께서 고위 임원분들께 신사업 개발에 대한 실행 전략을 발표하시기에 적절한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1. 신사업 개발에 대한 Paradigm Shift 측면 4차 산업혁명시대가,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식의 전사적 통합 신사업 ..

최근 제가 작성하고 있는 글 중에 Digital Healthcare에 대한 내용을 부쩍 많이 올리고 있습니다. 이유는 그만큼 향후 신사업 개발의 Key Industry가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것을 보여드리는 것이며, 이번 내용에는 산업전망과 시장 예측 및 시장의 Key Dynamics와 Market Winning Rules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디지털 헬스케어의 국내외 시장 현황 현재 우리의 디지털 헬스 산업의 경쟁력에 대한 전문가 의견은 글로벌 디지털 헬스 산업에서 韓경쟁력은 ‘60점’ 수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입장에서는 "의료정보 보안·표준화 R&D 연구비 확대 필요”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은 있어 보입니다. 향후 전 세계 디지털 헬스 산업의 성장이 5천억 달러..

신사업의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론 들이 있지만, 이번 글의 Key Point는 해외 신사업 투자를 기반으로 해외 VC와의 거점 구축, 투자 및 실리콘 밸리 사례를 통한 기술 중심의 신사업을 어떻게 할 것인지 방향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전 글에도 언급 한 바, 신사업의 Key는 외부 전문가들 혹은 기관들과의 협력 및 활용을 통해 기존 사업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기술하였습니다. 특히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전문 VC들과의 개방형 혁신을 통해 VC투자를 활성화 시키는 것도 신사업을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개방형 혁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해외의 전문 VC들과의 협력을 하는 투자 관점과 사례는 이하와 같습니다. 1. 신사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