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4차산업혁명 신사업 개발, 투자 Know-how 및 Idea Hub

2] Market Intelligence기반, 전략 및 투자 방향 도출 필요성 본문

5. 기업 Market Intelligence 및 Innovation

2] Market Intelligence기반, 전략 및 투자 방향 도출 필요성

4차산업혁명(반도체, AI, 로봇, 헬스케어) 신사업 2021. 5. 4. 01:21

1부 Market Intelligence는 개념적 설명을 기반으로 Why, What 측면에서 MI를 설명드렸습니다. 2부에서는 MI를 실행하기 위한 방향성 측면의 How중심으로 사례와 실행 측면으로 기술토록 하겠습니다.

1. Market Intelligence 실행

이하의 거대 기업의 사례를 보았을 때, 각각 본부 내 사업부별 MI 조직을 구성하고, 실행은 전략마케팅팀에서 MI를 운영하며, 사업부 단위뿐만 아니라, 기업 차원에서 전사 MI조직을 별도 구성하여, 정보의 체계적 구성과 정보의 Bottom up 순환을 위해 조직과 업무 그리고 그것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IT System까지 중요한 정보를 거대 조직에서도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Fundamental을 오래전부터 체계화시켰다는 점에서 이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 중소기업에서도 이러한 Flow를 통한 Market Intelligence의 적극적 도입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 Market Intelligence의 R&R, 실행 범위

Market Intelligence는 궁극적으로 C level 의사결정 지원수단이며, Insight가 담겨있는 Open 되지 않은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실행단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시장/경쟁 상황에 대한 정기적 Report를 할 수 있는 Process구축과 그것은 국내외까지 확장하여, 다양한 정보가 In & Out될 수 있는 Pipeline구축을 위한 설계나 방향을 제시하여 실행을 준비하는 것이 Key라고 생각합니다.

3. Control Tower로서의 Market Intelligence 역할

 

4. Market Intelligence 추진 전략과 범위

핵심정보의 전사적 통합기반, 전사 Issue 도출과 특정 주제 시사점 도출을 위해 MI를 구축하여, 보고 대상자에게 정보를 체계화하고 정례화하기 위해 Process를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Market Intelligence의 3대 핵심 추진 방향은 첫째, MI 업무 전담조직을 구축하는 것, 둘째, MI의 핵심인 정량화 Data를 조사기관을 통해 통합적으로 구매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것, 셋째,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법인까지 모두 하나의 Data를 통해 모두가 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상호 오류를 줄이며, 최적화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대기업에서도 MI추진을 위한 초기 인력은 5명 내외로 활성화될 경우 10명 내외로 운영하여, 프로세스 정립과 통합 계약 및 국내외 확대까지 일괄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다음 chapter에서는 정량화 data를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 계약하는지에 대한 Process내용도 기술토록 하겠습니다.

 

5. Market Intelligence의 Key Point인 수요 예측 관련 조사 기관 통합 계약

MI의 여러 tools중에서도 일명 Secondary Data를 공급해주는 업체들의 Data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숫자들의 가공들은 조사기관을 통해 계약하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이 큰 대기업에서는 어떤 누가 무슨 목적으로 얼마의 비용으로 조사기관별 구독을 하는지 모두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불필요한 과정을 없애는 것도 Market Intelligence에서 중요한 Process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사 기관과의 통합계약이 필수적이며, 그런 통합계약을 사업부나 본부별이 아닌, 전사 관점에서 Control tower가 관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통합관리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면서 이하 통합관리 To be모습을 그려보았습니다.

 

6. 완성형 Market Intelligence의 구축을 위한 ICT기반 수요 예측 통합 시스템 구축 

수요예측 위한, 불필요한 중복투자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사기관 자료 통합계약, 비용절감 및 DB구축으로 전사차원에서 사업부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ICT 기반의 수요 예측 통합 시스템 구축이 최종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용적 측면에서 Infra 투자 비용이 크게 들 수 있지만, 결국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Big Data 구축이 어떻게 보면 Market Intelligence의 기본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Big Data에 AI를 학습시켜놓으면, 앞으로 더욱 Proactive 한 Data를 가공하여 C level에 높은 수준의 Insight를 제공할 수 있다고도 생각해 봅니다.

 

위의 1부, 2부의 내용을 통해 Market Intelligence는 모든 전략과 실행의 기초이자, 핵심 Tools로서 특히 4차산업혁명시대의 기업에서 필수적인 업무 Process도입으로 생각되며, 단 IT System을 구축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과 Insight 및 기업별 철학에 녹여질 수 있는 다양한 Culture를 살려서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하며 Market Intelligence에 대한 개념적 설명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본 내용을 통해 전략 업무를 하시거나 신사업 개발을 하시는 분들께서 이러한 Mind set을 제고하여 전략의 고도화, 전략의 정량화 측면에서 Market Intelligence를 개발한다면, 기업의 미래를 보는 천리안이 자연스럽게 기업에 내재화 되지 않을까도 생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